본문 바로가기
보이스피싱 예방법

횡단보도 있는 교차로에서 보행자 없을 때 우회전은 어떻게?

by 몽판사 2024. 4. 1.
반응형

자동차 운행 중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경우 아직도 헷갈리는 분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2023년 1월 22일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교차로 우회전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    차 >

1.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 이유 및 내용
2. 상황별 우회전 방법 알아보기
3. 우회전 교통법규 위반 시 범칙금 및 벌점 
4. 노란색 횡단보도의 의미

 

1.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 이유 및 내용

 

① 도로교통법 개정 이유

  •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대부분이 보행자와 자동차의 심각한 인피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사망자의 비율로 줄어들지 않고 있어서 강화된 도로교통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었습니다.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년간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의 건 수는 총 56,730건이었으며 사망자는 406명이었습니다. 3년 동안 사고건수는 조금씩 줄었으나 사망자는 오히려 전 년도에 비해 늘어나거나 비슷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교차로 우회전 교통사고

 
②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의 내용

  •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횡단보도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려는 경우 정지선,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직전에서 정지한 후, 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다른 차마의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우회전할 수 있습니다. 단, 우회전 신호등(삼색등)이 적색이면 우회전할 수 없습니다.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사진
2023 교토로 우회전 방법(이미지=도로교통공단)

 


2. 상황별 우회전 방법 알아보기

 

①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려고 하는 차는 차량 신호등이 적색등화 일 때 정지선 또는 교차로 직전에 반드시 일시정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변에 건너(려)는 보행자가 없으면 서행하며 다른 차에 방해되지 않도록 우회전합니다.

 
②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려는 차는 차량신호가 적색등화이나 우회전 신호등이 녹색화살표 신호 시 서행하며 우회전합니다. 

횡단보도 있는 교차로 우회전 방법

 
③ 상황별 우회전 방법에 대한 정확한 법규지식 총 정리

 

  • 차량신호가 녹색이더라도 보행자가 보이면 언제나 일시정지해야 합니다.
  • 차량신호가 녹색이면 보행자가 없는 경우 서행하며 우회전하면 됩니다.

 


3. 우회전 교통법규 위반 시 범칙금 및 벌점

  • 보행자 보호의무위반 : 승합차 범칙금 7만 원 벌점 10점, 승용차 범칙금 6만 원 벌점 10점, 이륜차 범칙금 4만 원 벌점 10점으로 벌점은 동일하게 10점을 받습니다. (벌점 40점이면 운전면허정지)

4. 노란색 횡단보도의 의미

 

① 노란색 횡단보도의 의미

어린이 보호구역 횡단보도

  • 어린이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는 노란색으로 색깔을 바꾸어서 시범운영 중에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임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
  • 7개의 시도경찰청(대구, 인천, 경기북부, 강원, 충북, 전남, 경남)에서는 지자체와 협조하여 3개월간 노란색 횡단보도를 시범운영 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우회전 방법노란색 횡단보도의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사실 횡단보도의 경우 사고가 나면 대형 인피사고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야 하는데요. 특히 대형트럭이나 버스 등이 우회전할 때에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이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끔찍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교통신호 여부를 떠나서 횡단보도에 사람이 있는 경우는 무조건 일시정지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반응형